오늘은 한때 우리나라보다 훨씬 잘 살았던 나라, 하지만 지금은 쿠데타와 내전으로 깊은 아픔을 겪고 있는 미얀마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풍부한 자원을 가졌음에도 왜 미얀마는 가난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을까요? 그 충격적인 이유를 함께 파헤쳐 보겠습니다.
미얀마의 빛나던 과거
"곳간에서 인심 난다"는 말이 있죠. 미얀마는 그야말로 '곳간이 넘쳐나는' 나라였습니다.
석유는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개발되었고, 루비,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같은 최고급 보석들이 넘쳐났습니다. 희토류를 포함한 온갖 광물 자원은 물론, 1960년대까지 세계 최대의 쌀 생산 및 수출국이기도 했죠. 그야말로 모든 것을 다 가진, 축복받은 땅이었습니다.
자원의 저주 1: 군부 독재와 고립
이렇게 풍부한 자원을 가졌음에도 미얀마가 가난해진 첫 번째 이유는 바로 군부의 장기 집권입니다.
군인들이 정치를 오랫동안 장악하면서, 국가의 부는 국민에게 돌아가지 않고 군부의 이익을 채우는 데만 사용되었습니다. 군부는 이동통신, 은행, 부동산, 건설 등 돈이 되는 모든 사업체를 독점하며 자신들의 배를 불렸죠.
결국 '버마식 사회주의'라는 폐쇄적인 이데올로기를 내세워 쇄국 정책을 펼쳤고, 이는 외부 세계와의 교류를 단절시켜 미얀마의 경제를 더욱 수렁으로 빠뜨렸습니다. 자원이 오히려 독이 된, 전형적인 '자원의 저주'가 시작된 것입니다.
자원의 저주 2: 세계사의 깡패, 영국의 등장
미얀마의 비극에는 내부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외부의 개입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바로 '세계사의 깡패'라 불리는 영국의 등장이죠.
영국은 식민지였던 미얀마(당시 버마)를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교묘한 정책을 사용합니다. 노동력이 부족하다는 명분으로 당시 영국령 인도였던 벵골 지역의 사람들을 미얀마로 대거 이주시킨 것입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 영국의 아주 사악한 의도가 숨어 있었습니다. 이주민 대부분이 이슬람교도였다는 점입니다.
분열과 갈등의 씨앗, 로힝야 문제의 시작
불교 국가인 미얀마에 이슬람교도들이 대거 유입되자, 종교적, 민족적 갈등의 싹이 트기 시작했습니다. 영국은 다수인 버마족을 견제하기 위해 소수 민족인 이주민들을 중간 관리자로 내세우며 이들을 우대했고, 이는 원주민들의 엄청난 반감을 샀습니다.
.
이때 이주해 온 이슬람교도들이 바로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로힝야족 문제의 시작이었습니다. 영국이 심어놓은 '분열과 통치(Divide and Rule)'라는 갈등의 씨앗은 미얀마가 독립한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군부 독재의 정당성을 뒷받침하고 국민들을 분열시키는 도구로 악용되었습니다.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
미얀마의 사례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넘쳐나는 자원도 잘못된 정치 시스템과 외부 세력의 개입 앞에서는 오히려 저주가 될 수 있다는 사실, 그리고 식민 통치가 남긴 상처가 한 세기가 지나도록 한 나라를 어떻게 병들게 하는지를 말입니다.
어쩌면 진정한 부는 땅속에 묻힌 자원이 아니라, 국민을 하나로 묶고 미래를 함께 설계하는 '사람'에게 있는 것이 아닐까요?
'유익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이름은 우리가 정한다! 국명을 바꾸는 나라들 (0) | 2025.10.16 |
---|---|
미군 장교를 도끼로 찍어 죽인 북한, 김정일이 뒷목 잡은 이유 (Feat. 썬킴) (1) | 2025.09.18 |
⚡️만약 전기가 사라진다면? 과학자들이 말하는 우리의 생존 가능성! ⚡️ (1) | 2025.09.10 |
[과학보다] 우리도 모르게 빙글빙글? 우주 전체가 회전하고 있다는 놀라운 가설! (0) | 2025.09.10 |
"영화보다 더 영화 같다!" 2차 세계대전, 히틀러는 대체 왜 그랬을까? (feat. 썬킴의 역사TALK) (0) | 2025.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