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은 갑자기 세상의 모든 전기가 사라진다면 며칠이나 버틸 수 있을 것 같으세요? 상상만 해도 아찔한데요. 최근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하면서, 이러한 '블랙아웃' 상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튜브 채널 '과학을 보다'에서는 여러 과학자분들을 모시고 만약 전기가 사라진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에 대해 흥미로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함께 알아볼까요?
🔌 전기가 끊긴 세상, 우리는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도시에 있는 사람들은 며칠 정도 버틸 수 있을까요?"
질문으로 시작된 토론은 뉴질랜드의 한 특별한 섬 이야기로 이어졌습니다. 이에 전봇대 없는 이 섬에서는 밤 9시가 되면 전기 공급이 끊긴다고 합니다. 냉장고는 그저 하얀 찬장이 되어버리는 것이죠.
이처럼 전기 없는 삶은 낭만적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현실은 생각보다 훨씬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현대 도시의 경우, 전기 없이는 기본적인 생활조차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 기상천외한 에너지 생산법!
전기가 부족할 때를 대비한 기발한 아이디어도 소개되었습니다.
- 위치 에너지 활용: 건물 옥상에 무거운 추를 매달아 뒀다가 전기가 부족할 때 떨어뜨려 그 힘으로 에너지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2,000~3,000세대 아파트의 전기를 감당할 수 있을 정도라고 하니 정말 놀랍죠?
- 압전 소자 활용: 사람들이 걷거나 뛸 때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입니다. 클럽 바닥이나 도로에 이 압전 소자를 설치하면 상당한 양의 전기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 기하급수적인 증가의 무서움
'도라에몽'에 나오는 크림빵 이야기, 들어보셨나요? 5분에 두 배씩 무한히 증식하는 크림빵이 우주 전체를 덮을 수 있다는 내용인데요. 물리학자 김범준 교수는 이 이야기가 '곱하기'의 무서움을 잘 보여주는 예라고 설명합니다.
두께 0.1mm 신문지를 42번만 접으면 그 높이가 달까지 닿는다!
믿기지 않으시겠지만, 실제로 가능한 일이라고 합니다. 88번 접으면 안드로메다 은하까지 갈 수 있고, 120번을 접으면 우주 끝까지 갈 수 있다고 하니, 기하급수적 증가의 위력이 실감 나시나요?
💡 미래의 컴퓨터, 양자 컴퓨터의 등장
최근 IBM, 마이크로소프트 등 여러 기업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양자 컴퓨터에 대한 이야기도 나왔습니다. 양자 컴퓨터는 기존 컴퓨터가 수많은 반복 계산을 통해 답을 찾는 것과 달리, 중첩된 상태를 이용해 한 번에 수많은 답을 동시에 찾아냅니다.
마치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에서 1,400만 개의 미래를 한 번에 보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하네요!
🔋 전기 없이는 살 수 없는 세상
이 모든 놀라운 기술들도 결국 '전기'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현대 문명의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 바로 전기인 셈이죠. 하지만 최근 전력망이 복잡해지고 초연결 사회가 되면서, 작은 문제 하나가 대규모 정전 사태로 이어질 위험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대정전 사태 역시, 작은 케이블 하나의 문제가 연쇄적인 반응을 일으켜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는 전력망 시스템의 안정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오늘은 '과학을 보다' 영상을 통해 전기의 중요성과 미래 에너지 기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기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는 유익한 시간이었네요. 우리 모두 일상 속에서 전기를 아껴 쓰는 습관을 가지는 건 어떨까요?
'유익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보다] 우리도 모르게 빙글빙글? 우주 전체가 회전하고 있다는 놀라운 가설! (0) | 2025.09.10 |
---|---|
"영화보다 더 영화 같다!" 2차 세계대전, 히틀러는 대체 왜 그랬을까? (feat. 썬킴의 역사TALK) (0) | 2025.09.09 |
세계 최강 미국이 유일하게 패배한 전쟁, 베트남 전쟁의 모든 것 (feat. 썬킴) (0) | 2025.09.09 |
음식 궁합, 잘못 먹으면 독이 된다? 과학자들이 밝히는 위험한 조합 (1) | 2025.09.06 |
똑똑한 과학자들의 흑역사? 우리가 속고 있던 과학 상식들! (0) | 2025.09.06 |
댓글